증권플러스 비상장 로고
로그인
증권플러스 비상장 앱을 설치하고, 비상장 주식을 거래해보세요!

[토스뱅크] 22년 실적 - NIM 방어와 건전성 관리가 최대 관건

삼성증권 김재우

23.04.07

  • 토스뱅크는 22년 연간 2,644억원, 4Q 중 92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 순이자이익은 2,174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나, 대손충당금 급증이 적자 폭 확대 야기.

  • 흑자 전환 시점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23년 중 NIM 방어와 대출 라인업 다변화, 안정적 수신 재원의 확보, 그리고 자산건전성 관리 역량 확인이 최대 관건

WHAT’S THE STORY?


22년 연간 당기순손실 2,644억원 시현:
토스뱅크는 22년 연간 2,644억원, 4Q22 중 92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순손실 규모는 21년 -806억원 대비 확대. 순이자이익은 2,174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나, 대손충당금 급증이 적자 폭 확대 야기.


1. 이자 부문 순이익 전환 성공 ㅡ 대출 성장 및 NIM 확대에 기인:
토스뱅크의 이자부문은 2,174억원의 순이익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 (vs 21년 113억원 적자). 이는 1) 대출 성장과 더불어 2) NIM의 급등에 따른 것으로 판단.


2. 대출 ㅡ 신용대출 중심 고성장 지속:
동사의 대출 자산은 연말 8.6조원을 기록. 이는 21.2% q-q, 110.9% y-y 성장한 수준. 대출 대부분이 신용 대출을 중심으로 이뤄져 있는 가운데, 동사는 올해 전세자금대출로 대출 라인업 확장 계획을 발표.


3. 수신 ㅡ 안정적 조달 재원 확보가 또 다른 과제:
토스뱅크의 수신 총액은 20.3조원을 기록. 이는 47.2% y-y, 6.5조원 y-y 성장한 수준이나, 상반기에 비해서는 8.2조원 감소. 참고로, 22년 하반기 중 예금 감소는 시점상 SVB 사태에 따른 것이 아닌, 은행 간 예금 금리 경쟁 격화 속에서 예대율이 낮은 점을 활용한 것으로 판단. 다만, 동사 요구불예금이 더 높은 금리를 쫓아 이탈한 점은 향후 조달 안정성 제고와 관련된 과제를 남긴 것으로 판단.


4. NIM ㅡ 25bp q-q 급등 긍정적인 가운데, 올해 NIM 방어가 관건:
토스뱅크의 NIM은 25bp q-q, 133bp y-y 급등. 이는 유가증권의 대출 전환 및 코픽스 금리 상승에 따른 것으로 판단. 다만, 연초부터 시작된 코픽스 금리의 급락은 동사 NIM에 부담 요인인 점을 감안, 향후 NIM 방어가 동사 흑자 전환 시점에 있어 관건이 될 전망.


5. 유가증권 ㅡ 3월 기준 평가손 감안, 관련 부담 제한적:
토스뱅크가 보유한 유가증권은 13.0조원으로 전체 자산 중 55.6%. 동사는 3월 기준 미실현 손실 포함 유가증권 평가손실이 총 840억원대로 발표. 동사 자본력 감안, 관련 부담은 낮은 것으로 판단.


6. Credit cost 급등 ㅡ 대출구조 감안, 자산건전성 관리가 최대 관건:
토스뱅크는 연간 대손충당금 적립비용으로 1,850억원을 인식, 연간 Credit cost는 2.14%를 기록. 이는 선제적 충당금 적립에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동행의 연말 NPL 비율 및 연체율이 각각 0.53%, 0.72%인 점까지 급등하였고, 중저신용차주와 신용대출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자산건전성 관리가 향후 최대 관건이 될 전망.


향후 관건 ㅡ 흑자 전환:
BEP 달성을 위한 규모의 경제 확보 및 추가적인 손실 등을 감안할 때, 토스뱅크에 대한 추가적인 유상증자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일정 수준 이상의 대출 자산 규모 확보 통한 구조적 흑자 창출 가능성 제고가 관건.

관련 종목
관련 분야
# 증권
# 토스

본 리포트는 제휴사 <삼성증권>에서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내용으로,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하였으며, 증권플러스 비상장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보고서의 내용은 투자판단의 참고사항이며, 본 내용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으며, 법적 책임 소재를 판단하기 위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 리포트는 어떠한 경우에도 어떠한 형태로든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